출판물 남산 첫 마을 해방촌, 서울특별시 출판, 자연아래 예술위에 예술로 마을을 연결하다: 해방촌 예술문화자원의 발굴과 네트워킹 여인영 2018

Publication HBC Urban Regeneration Story, Seoul City publication, chapter Artist Community in One and Many InYoung Yeo Seoul Korea  2018 (Korean)


스페이스원의 시작: 세 개의 만남이 하나로

스페이스원은 해방촌 신흥시장에 예술문화 비영리기관을 만드는 상상을 한 어느 작가를 중심으로 세 개의 만남이 순환하며 우연히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했다.첫 번째 만남은 신흥시장에 거주하는 또 다른 작가와의 만남이었고, 두 번째 만남은 신흥시장 시장상인회의 방치된 옥상에서 해방촌의 정경을 바라보며 멋진 상상을 한 어느 공무원과의 만남이 었으며, 마지막 만남은 해방촌의 위험지역을 안전하게 만들고 싶어 한 또 다른 공무원과의 만남이었다. 세 개의 만남을 계기로 스페이스원은 해방촌 신흥시장 안에서 2014년 4월 여인영의 개인전으로 출발했다.




신흥시장, 해방촌, 서울에 자리를 잡으며

해방촌 입구에서 해방촌 오거리 꼭대기까지는 그리 멀지 않다. 하지만 언덕이 너무 가팔라서 한번 걸어 올라간 후에는 더 이상 걷기가 힘들 정도이다. 고맙게도 언덕 밑에서 꼭대기까지 마을버스가 다니는데 윗마을과 아랫마을의 풍경이 달라 마을버스를 탈 때마다 다른 도시를 경험하는 듯하다. 해방촌은 풍경만큼이나 거주하는 사람들도 다양하다. 영어교사로 1~2년 주기로 잠시 머무는 외국인들부터 교포들, 다양한 나라에서 온 이주민도 있고 50여 년 동안 자리를 잡은 해방촌 주민도 있다. 그분들 중 일부는 한국전쟁 이후로 북한에서 내려온 주민들이다.신흥시장의 1층은 다른 언덕에서 볼 때는 지하가 되는 구조이고, 아래층에는 장사를 하고 위층에는 거주를 할 수 있게 되어있다. 시장 입구는 네 곳이지만 큰 중심 입구 외에 다른 입구는 마치 숨은 그림을 찾듯 길거리 가게와 가게들 사이에 내려가는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흥미롭다. 현재는 사라졌지만 시장 안에는 30여년 된 반찬가게 아주머니부터, 옷수선하시는 할머님, 국수를 손으로 직접 뽑아 판매하시는 시장상인회 회장님, 동네 분들이 다 모이는 횟집, 노가리를 판매하시는 아저씨, 태어나서 지금까지 죽 시장에서 자라온 가죽 공방 청년까지 정말 다양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모여 있다.



도시재생이 시작되며: 또 다른 갈등 그리고 협상

2016년 해방촌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신흥시장에 자리를 잡으면서 스페이스원은 도시재생 주민협의체에 가입하여 회의에 참여하고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사실 예술과 도시재생 간의 갈등은 처음부터 있었다. 예술가나 예술을 인건비 없이 무료로 진행하려는 접근, 부족한 지원에 비해 신흥시장을 ‘아트마켓’으로 명명하는 접근, 소통과 이해의 노력 부족에 비해 예술을 재생의 주제로 앞세우는 접근, 임대료에 대한 상생 협약에도 불구하고 잘 이루어지지 않고 오르는 세입자들의 실질적 월세 고민, 공공예술의 획일화된 생각 및 정책 등 지금까지도 많은 갈등이 있다.



도시화, 도시재생에 대한 세 가지 프로젝트

이를 계기로 스페이스원은 다양한 주체들과 협업하여 도시화, 도시 재생을 주제로 대안적 형태의 공공예술을 지속적으로 기획하여 세 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1) 2017년, 동시대 공동체를 주제로 인도, 독일, 한국의 3개의 도시에서 진행된 인터뷰를 기반으로 전시, 퍼포먼스, 담론을 나누는 ‘삼방회로’ 프로젝트를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2017과 함께 진행하였다. “삼방 회로”는 오늘날 젠트리피케이션 또는 ‘도시 재생’이 벌어지고 있는 지역의 동시대 공동체들을 예술적 접근으로 연구하고자 시작되었다. 프로젝트는 한국 서울 해방촌, 독일 함부르크의 강가비예텔, 인도 부바네스와르의 3개 사람들에 대한 인터뷰로 시작되었다. (강가비에텔은 독일 작가들이 점거하여 현재 200여명의 아티스트, 디자이너, 건축가, 지역 라디오, 전시공간이 공동체를 형성하여 내부적 으로 관리하고 자유와 책임 영역을 같이 공유하는 공동체이다. 인도의 부브네스와르 에서는 도시의 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시장 공동체, 노동인구와 그 가족들이 일시적으로 거주하는 공동체, 예술활동을 하는 예술대학교 학생 및 예술인 공동체에서 인터뷰가 진행됐다.)


맺는 글: 예술의 자리를 질문하며

스페이스원이 비영리 예술문화공간으로 해방촌에 자리 잡은 지 5년이 다 되어간다. 그동안 스페이스원은 지역적 접근과 예술적 접근을 화두로 삼아 다양한 주체와 협업하며 다채로운 실험과 시도를 해왔다. 또한 서울에서 ‘도시화’와 ‘도시 재생’의 흐름을 몸으로 맞닥뜨리며 현대미술에 대한 고민도 함께 했다.

자본주의 생태계에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불편한 질문의 개입, 이로 인한 갈등, 그리고 융화가 모두 필요한 것 같다. 예술가는 물론이고 건축가, 지역 주민 등 그 누구도 이 생태계의 구성원이 아닌 사람은 없고 그렇기에 스페이스원은 이들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형태의 전시, 워크숍, 강연, 담론, 영화 상영회를 진행해왔다.

5년이 다 된 지금, 나는 자본과 소비를 기반으로 돌아가는 경쟁적이고 수직적인 위계 논리 구조 안에서 대안적 논리 구조가 공존할 수 있을까? 이 도시의 주인은 누구일까? 예술의 위치는 어디일까? 하는 질문들 사이에서 돌고 돌다 다시 제 자리에 선 느낌이다.

그러나 스페이스원의 활동이 제자리걸음이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동일한질문을 던지며 정답을 찾기보다는 스페이스원은 사람들이 동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주제를 통해 포괄적인 주제를 인식하고, 다시 한 번쯤 생각할 수 있는 시선을 끊임없이 제기하며, 소통의 계기를 지속적으로 창조하고 있다. 나아가 예술이라는 자리에서 정치적 자리, 경제적 자리에서는 쉽게 던질 수 없는 질문들을 반복적으로,간접적으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잠재적으로 상기시키지 않았나 싶다. 예술의 자리에서 과거를 되짚어 보고 현시대를 그대로 반영하며 미래를 상상해본다.

| 스페이스원 대표 여인영 |


© InYoung Yeo All Rights Reserved